이메일 무단수집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경닷컴(hankyung.com) 2025년 2월 19일「이지아 父, 친일파 부친 350억 땅 두고 형제간 법적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 헤럴드경제(biz.heraldcorp.com) 2월 19일「‘친일파 후손’ 이지아 父, 350억 땅 놓고…형제 간 법적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 머니투데이(mt.co.kr) 2월 19일「이지아父, 친일파 부친 350억 땅 놓고 형제간 분쟁…‘위조·사기’ 전과도」기사의 제목과 사진, 뉴시스(newsis.com) 2월 19일「친일파 후손 이지아 父, 350억 땅 상속 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 파이낸셜뉴스(fnnews.com) 2월 19일「‘친일파 후손’ 이지아 父, 350억 땅 놓고…형제 간 법적 공방」기사의 제목과 사진, 스포츠조선(sports.chosun.com) 2월 19일「이지아 父, ‘친일파 부친’ 350억 땅 두고 상속 분쟁…사기 전과도 드러났다」기사의 제목과 사진, 매경닷컴(mk.co.kr) 2월 19일「이지아 父, ‘친일파 부친’ 350억 땅 두고 형제간 법적 공방」기사의 제목과 사진, 서울경제(sedaily.com) 2월 19일「이지아 父, ‘친일파’ 부친 350억 땅 두고 형제간 분쟁…‘위조·사기’ 전과까지」기사의 제목과 사진, 브릿지경제(viva100.com) 2월 19일「‘친일파 후손’ 이지아 父, 가족들과 350억 규모 상속 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2월 19일「친일파 후손 이지아 父, 350억 땅 상속 분쟁 휘말렸다」기사의 제목과 사진, 뉴스1(news1.kr) 2월 19일「이지아 아빠, 친일파 부친이 남긴 350억 땅 형제끼리 법적 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 이데일리(edaily.co.kr) 2월 19일「이지아 父, 친일파 부친 350억 땅 두고 법적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 세계일보(segye.com) 2월 19일「친일파 후손 이지아父, 350억 땅 상속 분쟁…사문서 위조 의혹도」제목의 기사와 사진,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sportsworldi.com) 2월 19일「이지아, 친일파 후손 父 350억 땅두고 형제간 법적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 아시아투데이(asiatoday.co.kr) 2월 19일「친일파 아들 이지아 父, ‘350억 토지’ 놓고 형제들과 법적 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 국민일보(kmib.co.kr) 2월 19일「“이지아父, ‘친일파 부친’ 350억 땅 두고 형제간 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 문화일보(munhwa.com) 2월 19일「‘친일파 후손’ 이지아 아버지, 350억 원 땅놓고 형제들과 법적 분쟁」기사의 제목과 사진에 대하여 각각 ‘주의’ 조처한다.
한경닷컴 등 17개 언론사의 위 기사는 배우 이지아의 부친이 친일파인 부친 김순흥의 350원 규모 부동산을 놓고 형제들과 소송을 벌이고 있다는 내용이다. 해당 기사들은 이지아가 부친의 사건과 직접 관련이 없는데도 주 제목에「이지아 父」혹은「이지아 아빠」(뉴스1),「이지아 아버지」(문화일보) 등으로 이지아를 적시하고 그의 사진을 본문에 게재했다. 머니투데이, 스포츠조선, 서울경제는 이지아 부친의 위조 및 사기 전과를 제목으로 뽑기도 했다.
범죄 사건을 보도하면서 사건과 직접 관련이 없는 유명인의 이름이나 사진을 싣는 것은 유명세에 편승해 클릭 수를 올리려는 의도로 비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검찰이 이미 ‘혐의 없음’ 처분을 내려 피고소인들이 재정 신청을 진행 중이다. 이지아가 유명 연예인이라해도 부친의 범죄혐의를 다투는 법정 공방을 전하는 기사에 이씨의 이름을 주 제목에 올리고 사진을 싣는 것은 명예훼손 우려가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위 보도는 신문윤리실천요강 제11조「명예와 신용존중」①(명예·신용 훼손 금지)를 위반했다고 인정하여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신문윤리실천요강 제11조「명예와 신용존중」①(명예·신용 훼손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