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제 973차 심의결정 현황 /  [온라인기사] 신문윤리강령  위반

주의

 
 

2023-3112 박지원 하이브 CEO “이수만 역외탈세 의혹,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 반박 외 1건

1. 일간스포츠  발행인  곽  혜  은
2. 세계일보    발행인  정  희  택 
원문보기 Print
  • 주 문

      일간스포츠(isplus.com) 2023년 2월 17일자「박지원 하이브 CEO “이수만 역외탈세 의혹,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 반박」제목의 기사, 세계일보(segye.com) 2월 17일자「하이브 CEO, SM 경영진의 이수만 의혹에 대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제목의 기사에 대하여 각각 ‘주의’ 조처한다.    
     

  • 이 유

      1. 일간스포츠, 세계일보의 위 적시 보도내용은 다음과 같다.

    1)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박지원 하이브 CEO "이수만 역외탈세 의혹,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 반박
    입력 2023.02.17. 09:57 김00 기자


    박지원 하이브 CEO(최고경영자)가 이수만 전 SM 총괄 프로듀서의 역외탈세 의혹에 대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고 반박했다.
    박 CEO는 17일 전 직원에게 보낸 사내 이메일을 통해 "지난 며칠 간의 소식들은 이 전 총괄과 현 경영진 간의 과거사일 뿐 앞으로 하이브와 SM이 원칙대로 투명하게 이끌어갈 미래에는 성립되지 않을 이슈"라며 밝혔다.
    그는 "회사(하이브)는 라이크 기획 외에 인지하지 못한 다른 거래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따라서 계약 과정에서 이수만 전 총괄과 SM과의 거래를 거래 시점 기준으로 모두 중단시키거나 해제하는 포괄적인 문구를 계약서에 삽입했다"고 설명했다.이에 따라 "공시돼야 했으나 공시되지 않았을 수도 있는,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거래를 모두 차단하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SM 현 경영진이 주장하는 'CTP를 통해 SM 수익의 역외 탈세가 이뤄지는 비윤리적인 운영 방식' 또한 지분 인수 계약으로 인해 전제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고 강조했다.
    이성수 SM 대표는 전날 유튜브를 통해 14가지 폭로 내용 목록을 공개한 뒤 이수만의 역외 탈세 의혹 등 일부를 폭로한 바 있다.이에 대해 박 CEO는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 해외 프로듀싱을 통한 SM 프로듀싱에의 개입, 해외 자회사들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이전은 없다"고 말했다.박 CEO는 "SM의 ESG 캠페인은 지분 인수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글로벌 기업이자 K팝 산업을 이끄는 대표 기업이 응당 지켜야 할 기준에 맞게 더 투명하고 적법한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적었다.또 "우리는 음악과 아티스트 IP(지식재산권) 경쟁력에 기원을 둔 기업이자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선도해나가는 기업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본 인수 과정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이성수 대표는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의 전화 통화 내용 등 다른 내용도 추가 공개를 예고해 그 수위와 파장에 가요계 안팎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김00 기자 k000000@edaily.co.kr
    https://isplus.com/article/view/isp202302170036



    연합뉴스
    하이브 CEO "SM 역외탈세,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
    송고시간2023-02-17 09:30
    "SM ESG 캠페인 더 투명하게 운영…막중한 책임감 가지고 인수“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하이브 박지원 CEO(최고경영자)가 전날 SM 이성수 현 대표이사가 제기한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역외탈세 의혹 등에 대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고 거듭 우려 불식에 나섰다.
    17일 가요계에 따르면 박 CEO는 이날 오전 전 직원에게 보낸 사내 이메일을 통해 "지난 며칠 간의 소식들은 이 전 총괄과 현 경영진 간의 과거사일 뿐 앞으로 하이브와 SM이 원칙대로 투명하게 이끌어갈 미래에는 성립되지 않을 이슈"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회사(하이브)는 라이크 기획 외에 인지하지 못한 다른 거래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따라서 계약 과정에서 이수만 전 총괄과 SM과의 거래를 거래 시점 기준으로 모두 중단시키거나 해제하는 포괄적인 문구를 계약서에 삽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공시돼야 했으나 공시되지 않았을 수도 있는,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거래를 모두 차단하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SM 현 경영진이 주장하는 'CTP를 통해 SM 수익의 역외 탈세가 이뤄지는 비윤리적인 운영 방식' 또한 지분 인수 계약으로 인해 전제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고 강조했다.



    박 CEO는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 (이수만의) 해외 프로듀싱을 통한 SM 프로듀싱에의 개입, 해외 자회사들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이전은 없다"고 재차 말했다.
    박 CEO는 "SM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캠페인은 지분 인수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글로벌 기업이자 K팝 산업을 이끄는 대표 기업이 응당 지켜야 할 기준에 맞게 더 투명하고 적법한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적었다.
    또 "우리는 음악과 아티스트 IP(지식재산권) 경쟁력에 기원을 둔 기업이자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선도해나가는 기업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본 인수 과정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수 SM 대표는 전날 유튜브를 통해 14가지 폭로 내용 목록을 공개한 뒤 이수만의 역외 탈세 의혹 등 일부를 폭로했다.
    그는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의 전화 통화 내용 등 다른 내용도 추가 공개를 예고해 그 수위와 파장에 가요계 안팎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tsl@yna.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30217037200005?input=1195m


    2)세계일보

    세계일보
    하이브 CEO, SM 경영진의 이수만 의혹에 대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
    입력 : 2023-02-17 09:58:20수정 : 2023-02-17 10:06:04
    박지원 하이브 CEO(최고경영자)가 전날 이성수 SM 대표이사가 제기한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역외탈세 의혹 등에 대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고 해명했다.

    17일 가요계에 따르면 박 CEO는 이날 오전 전 직원에게 보낸 사내 이메일을 통해 “지난 며칠 간의 소식들은 이 전 총괄과 현 경영진 간의 과거사일 뿐 앞으로 하이브와 SM이 원칙대로 투명하게 이끌어갈 미래에는 성립되지 않을 이슈”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회사(하이브)는 라이크 기획 외에 인지하지 못한 다른 거래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따라서 계약 과정에서 이전 총괄과 SM과의 거래를 거래시점 기준으로 모두 중단시키거나 해제하는 포괄적인 문구를 계약서에 삽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시돼야 했으나 공시되지 않았을 수도 있는,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거래를 모두 차단하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덧붙였다.
    박 CEO는 “SM 현 경영진이 주장하는 ‘CTP를 통해 SM 수익의 역외 탈세가 이뤄지는 비윤리적인 운영 방식’ 또한 지분 인수 계약으로 인해 전제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 (이수만의) 해외 프로듀싱을 통한 SM 프로듀싱에의 개입, 해외 자회사들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이전은 없다”고 재차 말했다.

    박 CEO는 “SM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캠페인은 지분 인수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글로벌 기업이자 K팝 산업을 이끄는 대표 기업이 응당 지켜야 할 기준에 맞게 더 투명하고 적법한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우리는 음악과 아티스트 IP(지식재산권) 경쟁력에 기원을 둔 기업이자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선도해나가는 기업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본 인수 과정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성수 SM 대표는 전날 유튜브를 통해 14가지 목록을 공개한 뒤 이수만의 역외 탈세 의혹 등 일부를 폭로했다. 그는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의 전화 통화 내용 등 다른 내용도 추가 공개를 예고해 그 수위와 파장에 가요계 안팎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00 기자 b00@segye.com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217504801?OutUrl=naver


    연합뉴스
    하이브 CEO "SM 역외탈세,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
    송고시간2023-02-17 09:30
    "SM ESG 캠페인 더 투명하게 운영…막중한 책임감 가지고 인수“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하이브 박지원 CEO(최고경영자)가 전날 SM 이성수 현 대표이사가 제기한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역외탈세 의혹 등에 대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고 거듭 우려 불식에 나섰다.
    17일 가요계에 따르면 박 CEO는 이날 오전 전 직원에게 보낸 사내 이메일을 통해 "지난 며칠 간의 소식들은 이 전 총괄과 현 경영진 간의 과거사일 뿐 앞으로 하이브와 SM이 원칙대로 투명하게 이끌어갈 미래에는 성립되지 않을 이슈"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회사(하이브)는 라이크 기획 외에 인지하지 못한 다른 거래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따라서 계약 과정에서 이수만 전 총괄과 SM과의 거래를 거래 시점 기준으로 모두 중단시키거나 해제하는 포괄적인 문구를 계약서에 삽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공시돼야 했으나 공시되지 않았을 수도 있는,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거래를 모두 차단하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SM 현 경영진이 주장하는 'CTP를 통해 SM 수익의 역외 탈세가 이뤄지는 비윤리적인 운영 방식' 또한 지분 인수 계약으로 인해 전제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고 강조했다.
    박 CEO는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 (이수만의) 해외 프로듀싱을 통한 SM 프로듀싱에의 개입, 해외 자회사들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이전은 없다"고 재차 말했다.

    박 CEO는 "SM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캠페인은 지분 인수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글로벌 기업이자 K팝 산업을 이끄는 대표 기업이 응당 지켜야 할 기준에 맞게 더 투명하고 적법한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적었다.

    또 "우리는 음악과 아티스트 IP(지식재산권) 경쟁력에 기원을 둔 기업이자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선도해나가는 기업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본 인수 과정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수 SM 대표는 전날 유튜브를 통해 14가지 폭로 내용 목록을 공개한 뒤 이수만의 역외 탈세 의혹 등 일부를 폭로했다. 그는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의 전화 통화 내용 등 다른 내용도 추가 공개를 예고해 그 수위와 파장에 가요계 안팎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tsl@yna.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30217037200005?input=1195m

      2. 위 보도에 대하여 윤리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일간스포츠와 세계일보의 위 기사는 연합뉴스가 2023년 2월 17일 오전 9시 30분에 송고한「하이브 CEO “SM 역외탈세,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제목의 기사를 한 문장의 순서만 바꾸거나, 주어만 대명사와 명사 혹은 술어 일부만 바꾼 채 사실상 그대로 전재하면서도 기사의 출처를 밝히지 않고 오히려 자사 바이라인을 달아 게재했다.
      이는 다른 언론사의 저작권을 침해한 것으로, 신문의 신뢰성을 해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위 보도는 신문윤리실천요강 제8조「저작물의 전재와 인용」①(통신기사의 출처 명시)를 위반했다고 인정하여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 적용 조항

    신문윤리실천요강 제8조「저작물의 전재와 인용」①(통신기사의 출처 명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