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무단수집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연합뉴스(yonhapnews.co.kr) 2018년 10월 1일자「치과의사 자살에 환자 100여명 '치료비 환불' 피해 호소」기사의 제목, 문화일보(munhwa.com) 10월 1일자「치과의사 자살에 환자 100여명 '치료비 환불' 피해 호소」기사의 제목에 대하여 각각 ‘주의’ 조처한다.
1. 연합뉴스와 문화일보의 위 적시 보도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합뉴스)=『치과의사 자살에 환자 100여명 '치료비 환불' 피해 호소
송고시간 2018.10.01. 16:31
(대구=연합뉴스) 김선형 기자= 경영난을 겪던 치과의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어 환자들이 선납금 환불을 요구하며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1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대구 수성구 한 공원에서 치과의사 A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대구시내에서 치과병원을 경영하던 A씨는 몇 달 전 동업자인 다른 원장이 지병으로 사망하자 혼자 채무를 떠안으며 경영난을 겪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 병원에 치아교정과 임플란트 등 치료비를 선납한 100여명이 피해를 호소하며 환불을 요구하고 있다. 대구 달서구 보건소는 "환자들의 진료기록을 이관해 다른 치과 병원으로 환자를 옮기고 선납한 의료비는 환불받을 수 있도록 중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01/0200000000AKR20181001133900053.HTML?input=1195m >
(문화일보)=『치과의사 자살에 환자 100여명 '치료비 환불' 피해 호소
게재 일자 : 2018.10.01
경영난을 겪던 치과의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어 환자들이 선납금 환불을 요구하며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1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대구 수성구 한 공원에서 치과의사 A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대구시내에서 치과병원을 경영하던 A씨는 몇 달 전 동업자인 다른 원장이 지병으로 사망하자 혼자 채무를 떠안으며 경영난을 겪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 병원에 치아교정과 임플란트 등 치료비를 선납한 100여명이 피해를 호소하며 환불을 요구하고 있다.
대구 달서구 보건소는 “환자들의 진료기록을 이관해 다른 치과 병원으로 환자를 옮기고 선납한 의료비는 환불받을 수 있도록 중재하고 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1001MW164021575864 >
<캡처시각 18. 10. 1. 17:36>
2. 위 보도에 대하여 윤리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위 기사는 경영난을 겪던 치과의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어 환자들이 선납금 환불을 요구하고 있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다. 기사에 따르면 대구에서 치과를 경영하던 A씨는 몇 달 전 동업자인 다른 원장이 지병으로 사망하자 혼자 채무를 떠안아 경영난을 겪어왔다.
연합뉴스 기사 원문에는 ‘스스로 목숨을 끊어’라고 한 대목이 있는데 제목에서는 ‘자살’이란 단어로 바꿨다. 문화일보도 연합뉴스 기사를 인용 보도하는 과정에서 ‘자살’이란 표현을 그대로 사용했다. 자살 관련 보도는 그 자체만으로도 자살에 대한 경계심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신중해야 한다.
따라서 위 보도는 신문윤리실천요강 제7조「범죄보도와 인권존중」④(자살보도의 신중)을 위반했다고 인정하여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신문윤리실천요강 제7조「범죄보도와 인권존중」④(자살보도의 신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