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무단수집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헤럴드경제(biz.heraldcorp.com) 2017년 3월 25일자「임신한 10대 청소년 ‘10명 중 7명’은 낙태한다」제목의 기사, 매경닷컴(mk.co.kr) 3월 22일자「중고생 100명 중 5명은 성관계…첫 경험 나이는」제목의 기사에 대하여 각각 ‘주의’ 조처한다.
1. 헤럴드경제와 매경닷컴은 위 적시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보도하였다.
1)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임신한 10대 청소년 ‘10명 중 7명’은 낙태한다
기사입력 2017-03-25 19:46
[헤럴드경제=이슈섹션] 성관계 경험이 있는 10대 청소년 중 절반이 피임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관계로 임신한 여학생 10명 중 7명은 인공임신중절수술(낙태)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동윤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은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13∼2015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결과를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지에 실었다고 최근 밝혔다.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중 ▲ 성관계 경험이 있는지 ▲ 성관계 시작 연령은 언제인지 ▲ 임신경험이 있는지 ▲ 피임을 한 적이 있는지 등 성관계 관련 문항에 대한 청소년 21만2천538명의 답변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률은 5.3%였으며 남학생(7.4%)이 여학생(3.1%)보다 높았다. 또 성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성관계를 시작한 평균 연령은 13세였다.
성경험이 있는 여학생 중 0.2%는 임신을 했고, 임신한 경험이 있는 여학생 중 73.6%는 인공임신중절수술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피임 실천율은 낮았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피임 실천율은 2013년 39%에서 2015년 48.7%로 증가하긴 했으나, 여전히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15∼19세 미국 여학생의 피임실천율(98.9%)과 비교하면 매우 저조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한국 여학생과 미국 여학생의 피임실천률을 비교하지는 않았다.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70325000096&nt=1
연합뉴스
"중고생 5.3% 성관계 경험…절반 이상이 피임 안 해"
송고시간 2017/03/22 11:58
(서울=연합뉴스) 김민수 기자 = 성관계 경험이 있는 10대 청소년 중 절반이 피임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관계로 임신한 여학생 10명 중 7명은 인공임신중절수술(낙태)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동윤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은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13∼2015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결과를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지 최근호에 실었다고 22일 밝혔다.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중 ▲ 성관계 경험이 있는지 ▲ 성관계 시작 연령은 언제인지 ▲ 임신경험이 있는지 ▲ 피임을 한 적이 있는지 등 성관계 관련 문항에 대한 청소년 21만2천538명의 답변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률은 5.3%였으며 남학생(7.4%)이 여학생(3.1%)보다 높았다. 또 성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성관계를 시작한 평균 연령은 13세였다.
성경험이 있는 여학생 중 0.2%는 임신을 했고, 임신한 경험이 있는 여학생 중 73.6%는 인공임신중절수술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피임 실천율은 낮았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피임 실천율은 2013년 39%에서 2015년 48.7%로 증가하긴 했으나, 여전히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15∼19세 미국 여학생의 피임실천율(98.9%)과 비교하면 매우 저조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한국 여학생과 미국 여학생의 피임실천률을 비교하지는 않았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한국 청소년들이 주로 쓰는 피임법은 콘돔으로, 2015년 기준으로 69.3%가 이를 사용했다. 콘돔 사용 비율은 2013년 대비 4.4%포인트 올랐다.
그러나 체외사정이나 자연피임 등 실패 가능성이 큰 피임 방법을 택하는 청소년들도 약 20%에 이르렀으며 분석 대상 기간 동안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이른 나이에 성관계를 가지는 청소년이 늘어나는 현실에 맞춰 성교육 시작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청소년들에게 원치 않는 관계를 거절하는 법이나 관계를 하더라도 자신을 보호하지 못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분명히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동윤 교수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외국보다 성경험이 있는 비율은 아직 낮지만 저조한 피임실천율로 말미암아 원치 않는 임신이나 성병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며 "이같은 현실을 고려하면 청소년의 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고 피임법에 대해 충분히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22/0200000000AKR20170322082600017.HTML?input=1195m
2)매경닷컴
매경닷컴
중고생 100명 중 5명은 성관계…첫 경험 나이는
입력 :?2017.03.22 14:00:46
성관계 경험이 있는 10대 청소년 중 절반이 피임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관계로 임신한 여학생 10명 중 7명은 인공임신중절수술(낙태)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동윤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은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13∼2015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결과를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지 최근호에 실었다고 22일 밝혔다.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중 ▲ 성관계 경험이 있는지 ▲ 성관계 시작 연령은 언제인지 ▲ 임신경험이 있는지 ▲ 피임을 한 적이 있는지 등 성관계 관련 문항에 대한 청소년 21만2538명의 답변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률은 5.3%였으며 남학생(7.4%)이 여학생(3.1%)보다 높았다. 또 성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성관계를 시작한 평균 연령은 13세였다.
성경험이 있는 여학생 중 0.2%는 임신을 했고, 임신한 경험이 있는 여학생 중 73.6%는 인공임신중절수술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피임 실천율은 낮았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피임 실천율은 2013년 39%에서 2015년 48.7%로 증가하긴 했으나, 여전히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한국 청소년들이 주로 쓰는 피임법은 콘돔으로, 2015년 기준으로 69.3%가 이를 사용했다. 콘돔 사용 비율은 2013년 대비 4.4%포인트 올랐다.
그러나 체외사정이나 자연피임 등 실패 가능성이 큰 피임 방법을 택하는 청소년들도 약 20%에 이르렀으며 분석 대상 기간 동안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194352
연합뉴스
"중고생 5.3% 성관계 경험…절반 이상이 피임 안 해"
송고시간 2017/03/22 11:58
(서울=연합뉴스) 김민수 기자 = 성관계 경험이 있는 10대 청소년 중 절반이 피임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관계로 임신한 여학생 10명 중 7명은 인공임신중절수술(낙태)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동윤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은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13∼2015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결과를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지 최근호에 실었다고 22일 밝혔다.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중 ▲ 성관계 경험이 있는지 ▲ 성관계 시작 연령은 언제인지 ▲ 임신경험이 있는지 ▲ 피임을 한 적이 있는지 등 성관계 관련 문항에 대한 청소년 21만2천538명의 답변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률은 5.3%였으며 남학생(7.4%)이 여학생(3.1%)보다 높았다. 또 성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성관계를 시작 한 평균 연령은 13세였다.
성경험이 있는 여학생 중 0.2%는 임신을 했고, 임신한 경험이 있는 여학생 중 73.6%는 인공임신중절수술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피임 실천율은 낮았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피임 실천율은 2013년 39%에서 2015년 48.7%로 증가하긴 했으나, 여전히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15∼19세 미국 여학생의 피임실천율(98.9%)과 비교하면 매우 저조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한국 여학생과 미국 여학생의 피임실천률을 비교하지는 않았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한국 청소년들이 주로 쓰는 피임법은 콘돔으로, 2015년 기준으로 69.3%가 이를 사용했다. 콘돔 사용 비율은 2013년 대비 4.4%포인트 올랐다.
그러나 체외사정이나 자연피임 등 실패 가능성이 큰 피임 방법을 택하는 청소년들도 약 20%에 이르렀으며 분석 대상 기간 동안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이른 나이에 성관계를 가지는 청소년이 늘어나는 현실에 맞춰 성교육 시작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청소년들에게 원치 않는 관계를 거절하는 법이나 관계를 하더라 도 자신을 보호하지 못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분명히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동윤 교수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외국보다 성경험이 있는 비율은 아직 낮지만 저조한 피임실천율로 말미암아 원치 않는 임신이나 성병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며 "이같은 현실을 고려하면 청소년의 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고 피임법에 대해 충분히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22/0200000000AKR20170322082600017.HTML?input=1195m
2. 위 보도에 대하여 윤리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위 기사들은 연합뉴스가 지난 3월 22일 11시 58분에 송고한「"중고생 5.3% 성관계 경험…절반 이상이 피임 안 해"」제목의 기사를 몇몇 단락을 삭제하고 나머지는 거의 그대로 전재하고도 출처를 밝히지 않았다.
이런 보도행태는 다른 언론사의 저작권을 침해한 것으로 신문의 신뢰성을 해칠 우려가 높으므로 신문윤리실천요강 제8조「출판물의 전재와 인용」①(통신기사의 출처명시), ②(타 언론사 보도 등의 표절 금지)를 위반했다고 인정하여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신문윤리실천요강 제8조「출판물의 전재와 인용」①(통신기사의 출처명시), ②(타 언론사 보도 등의 표절 금지)